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를 다시본다' 현대미술가 6인의 신라문화 재해석 작품 전시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를 다시본다' 현대미술가 6인의 신라문화 재해석 작품 전시
  • 김종득 기자
  • 승인 2018.12.11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흥재, 신라, 그 푸른 밤_멀고도 가까운_ 연작시리즈, 2018년 전시모습
이흥재, 신라, 그 푸른 밤_멀고도 가까운_ 연작시리즈, 2018년 전시모습

국립경주박물관은 12월 14일부터 2019년 3월 3일까지 특별전 ‘신라를 다시 본다’를 개최한다.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현대미술 작가 6인이 자신만의 눈으로 신라와 신라 문화를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인다.

▲ ‘신라는 달의 나라이다’에서는 사진작가 이흥재의 작품을 소개한다. 그가 출품한 <신라, 그 푸른 밤 –멀고도 가까운–> 사진 연작은 신라시대의 고분, 무덤 앞에 자리한 감나무, 배경이 되는 하늘이 주요 소재다. 그가 신라의 달밤에 빠진 것은 우연히 황남대총 연못에 비친 푸른 하늘을 보았기 때문이다. 이른 새벽과 저녁 어스름이 교차하는 짧은 순간, 붉은 하늘이 청색으로 바뀔 때의 푸른색(twilight blue)에 주목한다.

▲ ‘고요한 부처의 마음에도 다양한 감정들이 있다.’에서는 설치미술 작가 김승영의 작품을 소개한다. 작가가 매료되었던 문화유산은 반가사유상(국보 제83호)이었다. 하지만 그는 고대의 걸작 안에서 가장 원천적인 감정인 ‘슬픔’을 찾아냈다. 사유思惟하는 보살상이 슬픈 표정을 짓고 눈을 가리는 모습으로 번안하였다. 관객이 의문을 갖는 순간 작품과 소통하고 반가사유상은 새롭게 인식된다.

▲ ‘먹은 신라의 정신, 동양의 정신이다’에서는 수묵화가 박대성의 작품을 소개한다. 작가는 작가 특유의 장기인 수묵으로 분황사 모전석탑과 불국사 다보탑을 그렸다. 특히 <고분古芬, 옛 향기>는 선덕여왕이 세운 분황사 탑에 주목한다. 당 태종이 보낸 그림에서 나비 없는 모란꽃을 보고 향기가 없을 것임을 추론해낸 지혜로운 선덕여왕은 향기 나는 여왕의 탑, 분황사를 세웠을 것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 ‘선덕여왕을 위한 진혼의식을 행하다’에서는 정종미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선덕여왕의 실제 얼굴은 알 수 없지만, 작가는 남산 불곡의 감실 부처가 선덕여왕의 모습이라는 지역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여왕의 얼굴을 창조해냈다. 또한 전통장례에서 상여 장식에 사용한 종이꽃(지화紙花)으로 화폭 양쪽에 ‘慶祝경축’글씨를 장식하여 선덕여왕을 위한 작가의 진혼鎭魂 의식을 보여준다.

▲ ‘신라의 소리로 전 세계에 자비를 전하다’에서는 임옥상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월인천강, 신라의 소리>에서 그가 집중한 것은 신라의 소리,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이다. 범종 소리는 부처의 말씀이다. 작가는 ‘하나의 달이 세상 모든 물과 강에 비춰지는 것(月印千江)’처럼 부처의 소리가 전 세계로 퍼져 나가는 모습을 미디어 아트로 구현했다.

▲ ‘디지털의 눈으로 신라를 본다’에서는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의 작품을 소개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신라 유물은 가시광선을 통해 본 유물의 색과 형상이다. <천년의 빛>에서 디지털 영상이 해석한 반가사유상, 석굴암 본존불상 그리고 금관은 우리가 알고 있는 유물의 색과 형태를 다르게 보여준다. 작가는 우리가 익히 보아온 신라를 디지털 기호로 뭉개고 요동치게 한다.

이와 함께 참여 작품의 개성을 볼 수 있는 ‘전시 소개 영상’과 작가들의 작품 제작 의도와 작품 뒷이야기 등을 생생한 인터뷰로 만날 수 있는 ‘작가 인터뷰 영상’도 마련했다. 전시 기간 중 전시 작품을 설명하는 큐레이터와의 대화(격주 수요일 오후2시)도 진행한다.

경주포커스 후원은 바르고 빠른 뉴스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