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해연 입지 부산울산경계지역 내정설' 보도에 '화들짝' 경주시, 유치운동 총력 각오 밝혀
'원해연 입지 부산울산경계지역 내정설' 보도에 '화들짝' 경주시, 유치운동 총력 각오 밝혀
  • 김종득 기자
  • 승인 2019.02.12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일보 12일자 보도. 사진=캡처.
조선일보 12일자 보도. 사진=캡처.

조선일보가 12일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입지로 부산 울산 경계지역으로 내정됐다는 보도를 하자, 경주시가 12일 긴박하게 움직였다.

경주시는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등과 함께 원해연 유치운동을 전개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일보가 12일 부산시와 울산시를 취재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원해연을 부산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 걸쳐 설립하기로 가닥을 잡았다고 보도했기때문.

조선일보는 부산과 울산의 고위 관계자의 발언이라며 " '원전 해체 연구는 폐로 원전이 많은 곳에서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연관 산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며 '부산과 울산이 공동 유치하면 경쟁 과열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한걸음 더 나아가 “‘현재 정부·지방자치단체·한국수력원자력·민간 자본 등 원해연 설립 참여자의 지분 분담 비중을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며 “정부는 내달 관련 내용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보도에 따르면 원해연 설립 예산은 2400억원.
3만3000㎡ 부지에 실험실과 분석실, 해체 기술 실증과 인증 시설, 방폐물 시험 시설, 모의 훈련 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연간 운영 예산은 500억원가량이다. 내달 입지 선정을 발표한 후, 오는 5월쯤 예비타당성 심사를 거칠 예정이다. 이르면 2020년 착공해 2022년쯤 완공된다.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은 24기로, 이 중 12기가 오는 2030년이면 수명이 끝난다. 개당 해체 비용은 7500억~8000억원가량 들며 이들을 모두 해체하는 비용은 10조원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수원은 원전 해체 산업 시장 규모를 14조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일보 보도에 대한 산자부의 해명자료와 경주시 대응방침을 밝힌 보도자료.
조선일보 보도에 대한 산자부의 해명자료와 경주시 대응방침을 밝힌 보도자료.

산업통상자원부는 그러나 12일 해명자료를 내고 이같은 사실을 즉각 부인했다.
산자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관련해서 현재 입지, 규모, 방식 등 다양하게 검토 중이며 아직 결정된 바는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고 밝혔다.

경주시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경주시는 이날 오후 2시17분쯤 산자부 해명자료를 지역언론사에 긴급 전달한데 이어 오후 3시31분에는 경주시 대응방침을 밝히는 보도자료를 보냈다.

경주시는 이 자료에서 산자부가 조선일보 보도를 부인한 사실을 전한뒤, 이날 보도에 대해서는“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부지 결정이 다가옴에 따라 그동안 유치에 노력해온 지자체의 과열된 경쟁이 낳은 해프닝으로 보이며, 경북과 경주가 더욱 단결해 정부의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하는 상황임을 주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부산시와 울산시가 경쟁 과열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해연 유치 공동 유치방안까지 모색하는 것과는 달리 경주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원해연 유치’가 물 건너 간 것 아닌가 라는 섣부른 판단으로 유치에 마지막까지 집중해야 할 추진력에 힘을 빼고 있기 때문이다”는 해석도 곁들였다.
지역사회의 단결된 대응을 사실상 주문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남홍 원전범시민대책위원회 위원장이 “경주시민의 단결력으로 정부에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것과 주낙영 시장이 유치 의지를 전했다.

경주시는 이 자료에서 "주낙영 시장이 '원자력 연관 사업이 집적되어 있고,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성 그리고 관련 인적자원의 확보 가능성이 우수한 경주야말로 원해연 유치에 가장 최적지'라며, ‘원해연 유치’에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각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고 강조했다.

경주포커스 후원은 바르고 빠른 뉴스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